일본의 '핵 쓰레기 "캐나다에서 받아 처분장 건설 구상. 캐나다 전 총리가 참여
핵발전소를 운영하고 있는 모든 나라는 원전에서 쓰고 버려지는 핵쓰레기 - 고준위핵폐기물의 처리에 어려움을 격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역시 고준위핵폐기물을 영구처분할 장소가 없어 핵발전소 부지에 보관중인데, 그마저 더 이상 보관할 곳이 없는 상태입니다.
일본은 캐나다 일부 핵마피아와 손을 잡고, 해외 처분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캐나다 전총리가 일본의 핵쓰레기를 들여와 캐나다에서 영구처분으르 해 준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에 우라늄을 수출해 돈을 벌었으니, 핵쓰레기 처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을 도와야 한다는 기적의 논리.
핵쓰레기는 엄청난 양의 방사성 물질을 내뿜는 아주 위험한 물질입니다. 그래서 수만년 격리해 영구처분해야 합니다. 자국에서 처리할 곳이 없다고 다른 나라로 문제를 떠넘기는 일은 또 다른 문제를 일으킬 뿐입니다.
핵쓰레기를 처리할 방법이 없다면 그 해결책을 찾을 때가지 핵발전을 멈추는 게 맞는 일입니다.
https://mainichi.jp/articles/20210404/k00/00m/030/058000c
일본 원전에서 나오는 방사성 폐기물 「핵쓰레기」를 캐나다 북동부에 땅속에 처분장을 만들어 묻는 계획의 존재가 밝혀졌다. 캐나다 공공 방송 CBC에 의하면, 핵쓰레기장 처분장 건설 계획에는 캐나다의 크레티엔 전 수상이 관여. 일본의 일부 원자력 산업의 관계자와 작년 2월경에 타진을 했다. 캐나다를 작년 4월에 방문해 의논할 예정이었지만,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대의 영향으로 보류되었다고 한다. 한편 현지 정치권은 계획의 실현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다.
크레티엔 전 수상은 현재의 트뤼도 총리와 같은 자유당에 소속되어 있으며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캐나다 정부나 일본 정부의 관여는 불명하지만, 이 계획이 사실이라면 일본으로부터의 핵 쓰레기의 「수입 계획」이 비밀리에 추진하고 있던 것이 된다.
CBC는 1일, 당사자 사이의 메일을 입수해 보도. 처분장 건설 장소로는 북대서양에 접한 뉴펀드 랜드·래브라도주로, 미 에너지성의 전 고관과 캐나다의 기업가까지 가세하고 있다. 크레티엔씨는 19년 여름에 다른 일본측의 관계자에게 맞춘 서한에서 「지층 처분 구상을 진행시키기 위해서 캐나다(정부)나 주, 파트너국에서의 논의를 조정해, 거기에 참가할 생각이다」라고 해 회합에 초대. 일본 측은 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며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겠다고 답신한 것으로 알려졌다.
변호사인 크레티엔씨는, CBC의 취재에 대해 직접적인 관여는 부정하면서도, 자신이 소속하는 법률 사무소가 「(구상을) 추진하고 싶은 그룹을 위해서 법률 업무를 하고 있다」라고 구상의 존재를 인정했다. 그는 우라늄 생산이 활발한 캐나다 상황을 언급하며 우라늄을 팔아 우리는 돈을 벌었다. 우리의 우라늄을 산 나라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지론을 폈다.
일본의 원자력 관계자도 마이니치 신문의 취재에, 캐나다측의 구상을 아는 인물이 일본내의 관계자에게 접촉해, 어드바이스를 구하고 있던 것을 밝혔다.
캐나다는 핵연료 폐기물 관리 기관이 핵 쓰레기를 묻는 최종 처분장 건설 계획을 추진하고 있지만 후보지는 동부 온타리오주의 2군데가 됐다. CBC에 의하면, 뉴펀들랜드·래브라도주의 휴레이주 수상은, 20년 여름에 크레티앵씨로부터 구상을 들었으나, 거부했다고 설명. 주정부내에서 정식으로 논의될 가능성에 대해 「제로다」라고 말했다.
일본은 원자력 발전에서 사용된 핵연료를 재활용하는 「핵연료 사이클 정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용이 끝난 핵연료의 재처리 후에 남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땅속 깊이 묻는 「지층 처분」을 계획. 하지만 최종 처분장은 정해져 있지 않고, 현재는 아오모리현 롯카쇼무라등의 시설에서 보관되고 있다. 크레티엔씨는, 보관하는 것은 「사용이 끝난 핵연료」라고 설명하고 있어, 재처리전의 사용이 끝난 핵연료를 받아 들이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고 보여진다.[스미 도시유키(뉴욕), 오카 다이스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