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하단 홈페이지정보 바로가기

방사능모니터링

일본 원전에서 나오는 금속 등의 폐기물 재활용 실험 중

관리자 | 조회 1136 | 2019.06.25 11:36

일본 정부가 원전 폐로 과정에서 나오는 금속을 비롯한 폐기물의 재활용을 실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훗카이도 무로란시의 제강공장에서 실시하고 있는데, 원전에서 사용되었던 배관이나 기기등의 금속 부품을 재활용하는 실험입니다.

철저한 관리로 배출되는 방사선량이 자연방사선량보다 낮다고 하지만, 원전에서 나오는 폐기물의 재활용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되는 일입니다.

과거 대만의 한 아파트에서 갑상선암 환자들이 급격히 늘어났던 이유도 아파트 철근에 함유된 방사성 물질 '코발트60'때문이였습니다.



「廃炉原発 金属再利用の課題」 (NHK 北海道 2019/6/11)
https://www3.nhk.or.jp/sapporo-news/20190611/0011011.html
https://web.archive.org/web/20190613003700/https://www3.nhk.or.jp/sapporo-news/20190611/0011011.html


동일본 대지진으로의 후쿠시마 제일 원자력 발전의 사고를 계기로 재검토가 진행되는 원자력 발전.
국내 20기는 폐가 결정하고 지금"폐로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
그 폐로를 진행시키는데 있어서 과제가 되는 것이, 금속이나 콘크리트등의 폐기물입니다.
국가는 방사성 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폐기물을 재이용할 수 있는 제도를 제정하고 있습니다만, 거의 진행되지 않는 것이 현상입니다.
안전한 재이용의 길은 있는지, 최근 무로란시에서 행해진 재이용의 시험을 취재했습니다.

재이용을 둘러싸고, 지금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원자력 발전에서 원자로로부터 비교적 멀어진 부분에 사용되고 있던 배관이나 기기등의 금속 부품입니다.
현재도 연간 약 1000톤이 배출되고 이것이 폐로 늘어나는 10년 후에는 10배로 불어난다고 추계되고 있습니다.
이 금속은 원전의 폐기물이지만 방사선의 영향에 대해서는 사람이 자연계에서 받는 것보다 낮은 것과 법률로 분류되어 방사성 물질에 의해 직접 오염되어 있는 원자로의 부품 등과는 확실히 구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력 발전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불안을 갖게 할 수도 있다고 하여 전력회사에서는 신중하게 취급하고 있어 대부분이 원자력 발전의 부지에 보관한 상태로, 이대로 계속 되면, 폐로 자체가 진행되지 않게 된다고 염려되고 있습니다.
국가는, 이러한 방사성 물질을 거의 포함하지 않는 금속에 대해서는, 일반의 산업 폐기물과 같이 녹이는 등 재이용할 수 있는 "클리어런스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로 실제로 안전한 재이용을 할 수 있는지, 나라의 위탁을 받아 무로란시의 무로란시의 일본 제강소의 공장에서 이번에 검증을 했습니다.
검증은 실제로 폐로 된 원전에서 나온 금속을 운반, 헤세이 29년도까지 3년간 진행되었습니다.
금속을 녹여서 원전의 폐기물을 넣는 용기에 가공해, 일련의 제조 공정으로 방사선의 영향을 측정했습니다.
그 결과 환경에 방출된 것으로 생각되는 방사성 물질에 의한 영향은 우리가 1년간 자연계에서 받는 방사선량의 약 66만분의 1임을 알았습니다.
담당자는 "유럽등에서는 선행적으로 운용되고 있는 제도로, 일본에서는 한층 더 엄격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는 것도 있어, 안전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만약 사업으로서 취급한다고 하는 것이 되면, 현지의 이해를 얻으면서 진행시켜 나간다"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한편, 시민의 사이에는, 극히 미량이라고는 해도 방사선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라는 소리도 있습니다.
무로란시의 시민 단체 "원자력 발전 폐로 금속의 재이용을 감시하는 시민의 모임"의 오오쿠라 사치코 공동대표는 "매우 미량의 방사선이라고는 해도, 만약 일상의 생활속에 그러한 재이용 금속의 제품이 들어가, 장기간에 걸쳐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정말로 영향은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총량은 아무것도 규제되어 있지 않는데도 안이하게 계속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지 않은가.제대로 된 정보를 각 단계에서 내놓고, 시민이 알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형태로 제출해 주었으면 한다"라고 이야기합니다.
폐기물의 수용 시기나 작업 내용 등 각 단계마다의 정보를 분명히 해, 이해를 얻는 노력을 해 주었으면 한다고 하고 있습니다.
한편, 폐로에서 나오는 금속에는 유용하고 고가의 것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해를 얻은 후에 다시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금속의 리사이클을 잘 아는 무로란 공업대학의 시미즈 카즈미치 교수는 "매우 고액의 원소가 많이 들어가 있는 이상, 자원이 적은 일본은 그것을 녹여 사용해 가는 편이 절대로 에너지적으로도 가격적으로도 유리하다.시민의 이해를 얻고, 정보공개를 철저히 하면서 진행해야 한다"라고 이야기합니다.
지금부터 많은 원자력 발전이 폐로를 맞이하는 가운데, 주민 이해는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국가나 전력회사도 사회에 정착할 때까지는 신중한 취급을 해 간다고 하고 있습니다만, 반복해 공손한 설명을 실시해 이해를 얻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東日本大震災での福島第一原発の事故をきっかけに見直しが進む原発。
国内の20基は廃炉が決定し、今「廃炉時代」を迎えています。
その廃炉を進める上で課題になるのが、金属やコンクリートなどの廃棄物です。
国は放射性物質をほとんど含まない廃棄物を再利用できる制度を設けていますが、ほとんど進んでいないのが現状です。
安全な再利用の道はあるのか、最近室蘭市で行われた再利用の試験を取材しました。

再利用を巡って、いま特に問題になっているのは原発で原子炉から比較的離れた部分に使われていた配管や機器などの金属部品です。
現在も年間約1000トンが排出され、これが廃炉が増える10年後には10倍にふくれあがると推計されています。
この金属は原発の廃棄物ではありますが、放射線の影響については人が自然界で受けるよりも低いものと法律で分類され、放射性物質によって直接汚染されている原子炉の部品などとははっきり区別されています。
しかし、原発から出たことで、不安を持たせかねないとして電力会社では慎重に取り扱っていてほとんどが原発の敷地に保管した状態で、このままたまり続ければ、廃炉自体が進まなくなると懸念されているのです。
国は、こうした放射性物質をほとんど含まない金属に対しては、一般の産業廃棄物と同じように溶かすなどして再利用できる「クリアランス制度」を設けています。
この制度で実際に安全な再利用ができるのか、国の委託を受けて室蘭市の室蘭市の日本製鋼所の工場でこのほど検証が行われたのです。
検証は実際に廃炉になった原発から出た金属を運び込み、平成29年度まで3年間行われました。
金属を溶かして原発の廃棄物を入れる容器に加工し、一連の製造工程で放射線の影響を測定しました。
その結果、環境に放出されたと考えられる放射性物質による影響は私たちが1年間に自然界から受ける放射線量の約66万分の1であることが分かりました。
担当者は「ヨーロッパなどでは先行して運用されている制度で、日本ではさらに厳格な基準を設けていることもあり、安全だと認識している。もし事業として取り扱うということになれば、地元の理解を得ながら進めていく」と話しています。
一方で、市民の間には、ごく微量とはいっても放射線の影響は無視できないのではないかという声もあります。
室蘭市の市民団体「原発廃炉金属の再利用を監視する市民の会」の大倉幸子共同代表は「ごく微量の放射線とは言っても、もし日常の生活の中にそうした再利用金属の製品が入り、長期間にわたって放射線にさらされたとき、本当に影響はないと言い切れるのだろうか。総量はなにも規制されていないのに安易に使い続けることは危険ではないのか。きちっとした情報を各段階で出し、市民が知ることができる、信頼できる形で出していただきたい」と話します。
廃棄物の受け入れ時期や作業内容など各段階ごとの情報を明らかにして、理解を得る努力をしてほしいとしているのです。
一方、廃炉から出る金属には有用で高価なものも多く含まれているので、理解を得たうえで再び活用すべきという指摘もあります。
金属のリサイクルに詳しい室蘭工業大学の清水一道教授は「非常に高額な元素がたくさん入っている以上、資源の少ない日本はそれを溶かして使っていった方が絶対にエネルギー的にも価格的にも有利だ。市民の理解を得て、情報公開を徹底しながら進めるべきだ」と話します。
これから多くの原発が廃炉を迎える中で、住民理解は喫緊の課題です。
国や電力会社も社会に定着するまでは慎重な取り扱いをしていくとしていますが、繰り返し丁寧な説明を行って理解を得ることが求められていると思います。



twitter facebook google+